깨어나라

[스크랩] `18년 반골 삼성맨`의 경고 "미디어법 통과되면…"

그리운계절 2009. 7. 12. 21:20

이미.. 시사저널 기자들 다 내쫓은 과거가 있죠..
시사IN이라는 새로운 잡지로 돌아오기야 했지만..


'18년 반골 삼성맨'의 경고 "미디어법 통과되면…"

 

삼 성전자에서 18년 동안 일하다 부장으로 퇴직한 김병윤 씨는 지난 9일 뉴스를 보다 문득 오싹했다. '아이 낳기 좋은 사회'를 만들겠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말 때문이다. 그 역시 지나치게 낮은 출산율이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대통령의 말에 왜 놀랐을까. 그가 툭 내뱉은 말에 답이 있다.

"결국 비정규직 노예들만 늘어날 텐데."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들이 기득권의 벽을 뚫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의 이런 생각이 견고해진 계기는 노무현 전 대통령 영결식 날 열린 삼성 재판이다. 대중의 시선이 영결식에 쏠려 있는 사이, 에버랜드 CB 헐값 발행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하는 대법원을 보며 그는 평소 생각이 굳어드는 느낌을 받았다. 재벌과 법조계 고위층, 보수 언론이 한통속이라는 생각이다.

" 최근 박연차 게이트로 논란이 된 태광실업은 연매출이 고작 5000억 원 규모에 불과하다. 그런데 검찰은 이 회사가 수백억 원대 비자금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 회사가 권력층을 상대로 전 방위 로비를 했다고 밝혔다.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누구나 '그렇다면 재벌은'이라는 의문을 품게 된다. 재벌과 정치권의 유착은 오래 전부터 공공연했다. 연매출 5000억 원 규모 기업이 수백억 원대 비자금을 조성해 정치권에 로비를 했다면, 재벌이 저지른 비리 규모는 이보다 훨씬 큰 규모라고 보는 게 자연스럽다.

하 지만, 사법부는 이런 부분을 건드리지 않는다. 언론도 마찬가지다. 약자에게는 한없이 가혹하지만, 재벌에 대해서는 반대다. 소수 재벌, 그리고 그들과 연줄이 닿는 이들을 제외한 다수 시민은 이제 사실상 노예나 다름없어졌다. 부당한 특권에 대해 항의할 수 없다면 그게 노예가 아니고 무엇인가."


"삼성 비판하는 책은 광고조차 낼 수 없었다"

사 실, 흔한 생각이다. 하지만, 그에게는 이런 생각을 뒷받침하는 사연이 있다. 삼성전자에서 나와 미국 유학을 다녀온 그는 지난 2007년 7월 <고르디우스의 매듭>이라는 책을 냈다. 삼성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재벌 개혁에 관한 생각을 담아낸 책이다. 그런데 이 책을 내는 과정에서 잊기 힘든 경험을 했다. 출간을 앞둔 무렵, 그가 대표이사로 있는 두레스경영연구소를 찾는 손님이 갑자기 늘었다. 주로 그의 고교 선·후배들이었다. 그들이 하는 이야기는 한결같았다. "책을 내면 소송에 휘말릴 수 있다", "동문들 앞길 막으려 하느냐"….

결국 책은 냈다. 그래도 문제는 남았다. 책 광고를 할 수 없었다. 언론사에 돈만 내면 할 수 있는 게 광고지만, 삼성에 비판적인 책은 예외였다. 한 경제지는 광고 지면을 확정하고 광고비까지 줬는데 광고를 싣지 않았다. 결국 광고비를 되돌려 받았다. 다른 일간지는 컬러 광고와 흑백 광고를 각각 한 건씩 내기로 했는데, 컬러 광고 한 건으로 그쳤다. 광고비를 더 줄 테니 광고를 계속 내달라는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리고 다른 일간지는 아예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삼성에서 광고를 싣지 말라고 해서 어쩔 수 없다면서 광고비를 환불해주겠다고 했다.

재벌개혁만으로는 부족한 이유

언론의 입을 다물게 하는 삼성의 힘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 하지만, "내 돈 내고 내가 광고하겠다는 것"까지 막을 수 있는 줄은 몰랐었다. 그리고 더 큰 놀라움이 기다리고 있었다. 삼성은 내부 고발까지 잠재우는 힘을 발휘했다. 같은 해 10월, 김용철 변호사가 양심고백을 통해 삼성 비리를 세상에 알렸지만 결국 유야무야됐다. 삼성 비리를 수사하겠다던 특검은 비자금 조성 등 주요 의혹 대부분을 덮어버렸다. 그리고 법원은 기존 판례까지 무시하며 면죄부를 줬다. 지난달 29일 대법원 판결은 그 정점이다.

보통사람들은 근처에만 가도 주눅이 드는 법원을 제멋대로 요리하는 힘은 도대체 어디서 나온 걸까. 이런 궁리 끝에 나온 책이 <대한민국 판도라 상자를 열다>다.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낼 무렵, 그는 재벌 개혁만 이뤄지면 사회가 바로잡힐 줄 알았다. 그러나 가만히 살펴보니 그게 아니었다. 영향력이 센 보수 언론은 이미 재벌과 한 몸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재벌 개혁만 외쳐봐야 아무런 반향이 없는 게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언론은 재벌에 유리한 쪽으로 여론을 이끈다. 그렇게 되면, 역시 재벌과 한통속인 법조계 상층부가 굳이 여론을 거스를 이유가 없다. 반발 여론도 있지만, 이런 목소리는 주요 언론에서 다루지 않는다. 법원이 별 망설임 없이 재벌에 치우친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이유다.

그런데 이명박 정부가 미디어법을 개정해서 재벌이 언론을 소유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려 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는 '큰일 났구나' 싶었다. 언론이 노골적으로 재벌의 시녀 노릇을 하게 되리라는 불안감이다. <대한민국 판도라 상자를 열다> 출간 일정을 5월 말에 맞춘 것도 그래서다. 미디어법 개정안이 6월 국회에서 처리될 예정이기 때문. 10일 오전, 서울 서초동에 있는 두레스 경영연구소에서 그와 나눈 이야기를 간추렸다.
 
출처 : 쌍코 카페
글쓴이 : ⓧ아유해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