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드라마

[스크랩] [장화,홍련] 영화VS시나리오 전격비교 제 2탄!! [장화,홍련] 너를 밝혀주마!!

그리운계절 2008. 3. 29. 22:59

 

이 글을 읽으시기 전에...

 

이 게시물에는

본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영화 안 보신 분들은

알아서~알아서~

뒤로가기 혹은 목록 버튼을

꾹 눌러주시길 바라오며...

 

 

 

 

 

 

시작하겠습니다.

 

 

 

 

 

김지운 감독 작품 중 가장 흥행한 영화.

한국 공포영화 사상 최고 흥행작.

<무비위크>지 선정 최고의 한국공포영화.

임수정과 염정아라는 배우를 재발견한

바로 그 영화!!

 

 

 

 

[장화,홍련]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 벽지공포영화의 창시자인 이 영화.

슬프면서도 아름다운 공포로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는데요...

 

과연, 이 영화의 시나리오도 영화만큼

슬프고 아름답기만 할까요?

 

-----------------------------------------------------------------------------

 

우선 우리가 주목해야하는 점.

 

영화상에는 주요인물이

수미,수연,새염마, 그리고 두 자매의 아버지인 무현으로 되어있는데요.

 

시나리오 상에는 이 4명의 인물 말고

한 명의 인물이 더 등장하게 됩니다.

 

영화상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시나리오에는 존재하는 그 인물은

바로 박순경이란 인물인데요.

 

이 박순경이란 인물은 시나리오 상에서

영화 시작부분과 결말부분에 나와서

중간중간 영화를 환기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아버지인 무현과 대립을 하며 묘한 긴장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시나리오 상의 한 부분을 볼까요?

 

--------------------------------------------------------------------------

 

                                                          53. 거 실 (낮)


                          불에 올려놓은 스팀형 주전자에서 삐익 소리를 내며 물이 끓고 있다.

          

                                     박순경 : 그게 뭐죠?

                                     무 현 : 그런 거 느껴 보신 적이 있습니까?           

                                     박순경 : 네?

                                     무 현 : 전생이라던가 영혼이라던가 ....... 초자연적인 현상들요.

                                     박순경 : 귀신을 말하는 건가요?

                                     무 현 : 그녀는 그렇게 믿고 있었어요.

                                                    (이하 중략....)

 

--------------------------------------------------------------------------

 

그리고 또 하나.

결국 박순경은 자신이 겪은 모든 일의 원인을

알게 되지만 죽게 됩니다.

 

-------------------------------------------------------------------------

 

                                            106. 저수지 ( 같은 시간 )

 

                                                        -중략-

 

                                  순경은 순간 잘못 보았나 하는 생각을 갖는다.

                             물살이 빨라져서 무언가 자기가 잘못 봤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그 물체는 물살에 따라 이리 저리 움직이는 것 같더니 천천히 몸을 일으킨다.

                                          박순경, 심장이 턱하고 멈출 것 같다.

                         그 검은 물체는 어느 정도 몸을 일으키더니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박순경, 몸을 덜덜덜 떨며 놀래서 떨어뜨린 후레쉬를 더듬 더듬 찾는다.

                                     그때, 더 이상 움직이지 않던 검은 물체가

                                  똑바로 일어선 상태로 앞으로 조금씩 걸어온다.

                                다급해진 박순경, 후레쉬를 찾으려고 안간힘을 한다.

                   아주 천천히 치렁 치렁한 긴머리를 늘어뜨린 채 그것은 박순경앞으로 걸어온다.

            움직일때마다 진득해진 머리카락들이 한움큼씩 몸을 타고 흘러내려와 듬성 듬성 빠진다.

                                                후레쉬를 비췄을 때,

             얼굴이 몹시 물에 불려져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너무나도 끔찍스럽고 흉측한 얼굴이

                                                화면 가득히 채워진다.

                                           기겁하며 몸을 움찔하는 박순경.

            박순경이 몸을 덜덜덜 떨면서 호흡을 가다듬고 천천히 뒷걸음으로 배수관을 빠져나올 때.

              갑자기 바로 앞에서 찢어지는 괴성과 함께 무언가가 튀어올라 박순경의 목을 잡고

                                         박순경과 함께 물속으로 사라진다.


                                                        컷 아웃.

-------------------------------------------------------------------------

 

이 뿐만 아니라 영화상의 첫 씬은

수미가 병원에서 상담하는 걸로 시작되지만

시나리오 상에는 마치

 

'이 얘기는 아주 오래전에 있던 일인데....'

라고 하는 듯 시작되는데요.

 

그럼 시나리오 상의 첫 씬은 어떨까요?

 

---------------------------------------------------------------------------

 

                                                 1. 오프닝 (저녁)


                                       화면 열리면 해질녘의 한적한 시골길.

                카메라, 누군가의 발걸음을 따라 조용하고 인적도 없는 한갓진 시골마을을 훑는다.

                            때때로 개 짖는 소리만 들릴 뿐, 그것도 멀리서 나직이 들린다.

             소리가 조금씩 열리면서 카메라가 길모퉁이를 돌면 상갓집이 나오고 집 앞에

                 내걸린 붉은 상갓집 등이 해질녘 검푸른 하늘과 기묘한 콘트라스트를 이룬다.

                                        바람에 조금씩 흔들리는 붉은 등.

---------------------------------------------------------------------------

 

시작부분부터 다른 이 영화,

하지만 시나리오의 중간부분은

우리가 봤던 영화 [장화,홍련]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시나리오보다 영화가 더 무서울 정도니까요.

 

하지만 끝부분은 살짝 다르네요.

 

-----------------------------------------------------------------------------

 104. 서 재 (낮)

 

 사방에 있는 각종 약품과 낚시도구 등, 말할 수 없는 기기한 냄새와 물건들의 배치는

                                           박순경에게 강한 인상을 심는다.

 

-중략-

 

 그러다 박스처리된 물건들 사이에서 액자와 사진들을 발견한다.

                            죽은엄마를 중심으로 가족들이 빙 둘러앉은 모습의 가족

          그런데 놀라운 것은 지금의 현재부인이 간병인차림으로 죽은엄마 옆에 서있는 사진이다.

            연속적인 사진은 죽은엄마의 병색이 점점 짙어지는것과 반대로 점점 가족의 중심이

                                  되어가고 있는 새엄마의 모습이 드러난다.

                                 그러다 박순경은 기겁하며 액자를 떨어뜨린다.

                                   바닥에 떨어진 액자는 무현의 영정사진이다.

 

-----------------------------------------------------------------------------

 

영화의 끝 부분에서는

영화 상에서 제대로 나오지 않았던

무현의 죽음이 밝혀지게 되죠..

 

또한.

 

-----------------------------------------------------------------------------

 

                                                   103. 거 실 (낮)

 

         무 현 : ( 괴로운 듯 인상이 조금씩 일그러진다 ) 죽은사람과 대화하지 말라는 말을

                   아십니까?

         박순경 : 네? 그게 ...... 무슨 ....... 그게 무슨 말씀이시죠?

         무 현 : ( 조금 진정시키려는 듯 호흡을 고르며 ) .......... 정말 파출소로 찾아온 여자가

                   수미라고 생각하십니까?

         박순경 : 네?

         무 현 : 어제 찾아왔다던 그 여자가 정말 수미라고 생각하시냐고 물었습니다.

         박순경 : 수연양 사진을 가지고 와서 동생 분이라고 ....... 아니 근데 무슨 말씀이시죠?

                     저한테 찾아온 여자 분이 수미 양이 아니란 말입니까?

         무 현 : ............ 그 앤 죽었어요. ...........자살했습니다.

         박순경 : ( 놀라며 ) 네? ..........

         무 현 : ......... 죽었다구요. 스스로 자기 목숨을 끊었습니다.

-----------------------------------------------------------------------------

 

이 부분을 통해선 수미마저 자살을 통해

수연의 곁으로 갔다는 점을 알 수 있죠.

 

그리고 제일 궁금하실 듯한 엔딩씬.

 

영화의 엔딩은 이랬죠.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산책로를 걷다가 2층 수연 방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리자

                                불길한 기분이 들어 집으로 빠르게 내려가는데

                         2층 베란다에서 새엄마가 극도로 무심하고 건조한 표정으로

                                 열려진 베란다 문을 조용히 닫으려한다.

                                    새엄마를 보자 걸음을 멈추는 수미.

                                  새엄마는 정원에 있는 무현을 바라본다.

                                  무현은 산책로에 있는 수미를 바라본다.

                                 수미는 베란다에 있는 새엄마를 바라본다.

                        잠시 망설이다 발길을 돌려 다시 산책로를 걷기 시작하는 수미.

                         콧노래로 허밍을 하는 무표정한 수미의 얼굴에서 정지화면 된다.

------------------------------------------------------------------------------

 

하지만 시나리오상의 엔딩은 이렇답니다.

 

-------------------------------------------------------------------------------

 

                                              107. 파 출 소 (밤)


                                                 텅빈 파출소.

               파출소의 여닫이문이 바람 때문에 조금씩 끼이익 거리는 소리를 내며 흔들거린다.

                확하고 순간적으로 강한 바람이 불어와 책상 위에 있던 용지들이 휘리릭 날린다.

                           용지들이 공중에 한번 약하게 떴다가 바닥으로 떨어지면,

                       박순경, 두눈을 부릅뜨고 무언가 놀란 듯하고 또는 어딘가 뚫어지게

                                바라보는 듯 한 표정으로 바닥에 쓰러져있다.

           한 손엔 볼펜을 꽉 움켜진 채 마치 조순경이 죽은 광경과 흡사하게 그렇게 쓰러져있다.

                               그의 표정은 어떻게 보면 슬픈 표정 같기도 하고

                              어떻게 보면 무언가에 크게 놀란 표정 같기도 하다.

-------------------------------------------------------------------------------

 

시나리오 상의 엔딩은 박순경의 죽음으로 끝나면서

영화상의 엔딩이 에필로그 형식으로 되어있네요.

 

 

자 어떠신가요?

[장화,홍련]역시 시나리오와 영화가

많은 차이를 두고 있네요.

 

하지만 시나리오대로 갔으면

그냥 우리가 할머니,할아버지께

어렸을 적 들었던 전래동화가 될 법했을 뻔 했죠?

 

박순경과 관련된 부분을 다 쳐내니

영화가 한결 더 깔끔해졌고

수미,수연,새엄마,무현의 관계에 조금 더

신경을 쓰면서 가족의 불화로 인한 공포와

수미가 왜 다중인격장애를 갖게 되었는지

더 쉽게 설명이 된 거 같네요.

 

그리고, 박순경의 존재에 대해 궁금하실거 같은데...

많은 분들이 눈치채셨을 지도 모르겠지만

박순경의 존재는 아마 동화 [장화,홍련]

의 사또 쯤으로 해석되겠네요.

 

전래동화에서는 사또가 자매의 원한을 풀어주지만

영화상에서는 원한을 풀어주지 못하고

결국 죽음을 맞이하게 되네요.

---------------------------------------------------------------------------------

 

재밌으셨나요?

 

지난 번 [살인의 추억] 이후에

어떤 영화의 시나리오를 영화와

비교해볼까....

했는데, 제대로 잘 골랐는 지는 모르겠네요.

 

암튼 재밌게 봐주셨으면

다음에 또 다른 영화로 찾아뵐게요.

 

 

 

                            

첨부파일 [장화,홍련_메모리즈-O.S.T.]돌이킬수없는걸음NoPathBack.wma

 

 

 

출처 : Bestdresser 활동정지 당하신 영혼들의 안식처♩
글쓴이 : 잔액이부족하오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