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드라마

[스크랩] [경성스캔들] 난 말이지.... 내가 이런 드라마를 봤다는게 진심으로 축복이었던 것 같아...

그리운계절 2009. 10. 9. 10:14

 

 

 

 

 

 

 

 

 

 

 

 

 

 

 

 

 

 

2007년 6월 6일..

 

1930년대의 경성을 만나다

 

혁명과.. 사랑과.. 눈물을.. 만나다

 

 

 

 

 

 

 

 

 

 

 

 

 

 

 

 

 

 

 

 

 

 

 

 

 

 

 

 

 

 

 

 

 

 

 

 

 

 

 

 

 

 

 

 

 

 

 

 

 

 

 

 

 

 

 

 

 

 

 

조국은 왜놈에게 짓밟혀 신음해도,

청춘남녀들은 사랑을 한답니다.

그게 인간이예요

 

 

 

 

 

 

 

 

 

 

 

 

 

 

 

 

 

 

 

 

 

 

 

 

 

 

 

 

 

 

 

 

 

 

 

 

 

 

 

 

 

 

 

 

 

 


사회주의민족주의니, 그딴 게 뭔지 몰라도

그거 때문에 친구랑 멀어지는 게 싫다 나는.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고통 받는 게 싫어.

 

 

그게 바로 민족주의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열정을 품고 행동하는 거..
그게 민족주의고 사회주의라구.

 

 

그럼 사랑

혁명의 가장 위대한 각성제,

연애가장 위대한 혁명 전술되는건가?

 

 

 

 

 

 

 

 

 

 

 

 

 

 

 

 

 

 

 

 

 

 

 

 

 

 

 

 

 

 

 

 

 

 

 

 

 

 

 

 

 

 

 

 

 

 

 

 

 

 

 

 

절 기생으로 팔아넘긴 제 아비를 죽여주세요.
제 아비의 땅을 빼앗아, 노름꾼이 되게 만든 일본 순사도 죽여주세요.

 

 

 

미안하지만, 아직 내겐 그런 힘이 없어.

..그래도 살아.
식민지 조선에서 '그래서' 살아가는 사람은 없어.
모두들 '그럼에도' 살아가는 거지.


세상을 이따위로 만든 적들을 찾아 복수해.

죽지마. 절대로 살아.


너를 죽이지 못한 고통은,

너를 강하게 만들 뿐이란 사실을 보여줘.. 세상에게.

 

 

 

 

 

 

 

 

 

 

 

 

 

 

 

 

 

 

 

 

 

 

 

 

 

 

 

 

 

 

 

 

 

 

 

 

 

 

 

 

 

 

 

 

 

 

 

 

 

 

 

아름다운 밤이에요 여러분.
청춘의 특권이 허락되지 않는

척박힌 이 시대를 살아가는 여러분들을 위해,
그럼에도 살아가고, 
그럼에도 사랑하는,

여러분들을 위해 이 노래를 불러요.

 

 

 

 

 

 

 

 

 

 

 

 

 

 

 

-세상엔 목숨을 걸어야만 하는 사랑도 있는 법이야-

 

 

 

 

 

 

 

 

 

 

 

 

 

 

 

 

 

 

 

 

 

 

 

 

 

 

 

 

 

 

 

 

 

 

 

 

 

 

 

 

 

 

 

 

 

 

 

 

 

 

 


고무신 하나가 세상 전부가 될 수도 있는 아이들이예요.
그만큼 순수하고, 또 그만큼 가난해요.
그런 아이들을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해 열심히 뛰어줘서 정말 고마워요.
오늘 당신은 그 아이한테
세상 전부를 갖게 해주셨어요.

 

 

 

 

 

 

 

 

 

 

 

 

 

 

 

 

 

 

 

 

 

 

 

 

 

 

 

 

 

 

 

 

 

 

 

 


 

 

 

 

 

 

 

 

 

 

 

 

 

 

 

 

 

 

내막을 자세히 알지도 못하면서

여경씨를 무조건 비호해줬다?
사랑인가, 이건?

 

 

또 앞서간다.

 

 

아니란 거야?

그럼 사랑이 아니면 뭘까?

 

 

나도 조선인이니까.
뼛속까지 룸펜에, 못말리는 데카당스지만,

어쨌든 나도.. 조선인이니까.

 

 

 

 

 

 

 

 

 

 

 

 

 

 

 

 

 

 

 

 

 

 

 

 

 

 

 

 

 

 

 

 

 

 

 

 

 

 

 

 

 

 

 

 

 

 

 

 

 

 

 

 

 

 

 

 

 

 

 

 

누구나 처음은 장난처럼 시작해.
그 장난이 인연이 되고,

그 인연이 때론 운명이 되는 거야.
우리가 운명이 될 지 어떨지는 가봐야 아는 거잖아.
중요한 건 현재의 감정 이잖아.

 

 

 

 

 

 

 

 

 

 

 

 

 

 

 

 

 

 

 

 

 

너를 만날 때마다  본의 아니게

목숨을 걸어야 하는 상황이
몇 번이나 반복됐지만,

살아 있는 것 같았어.

 

넌 그런 애였어.
뼛속 깊숙이 룸펜인 나에게
니가

살아가는 세상을 전염시킬 만큼
생명력이 펄펄 끓어 넘쳐. 나에게 너는.

 

 

 

 

 

 

 

 

 

 

 

 

 

 

 

 

 

 

 

 

 

 

 

 

 

 

 

 

 

 

 

 

 

 

 

 

 

 

 

 

 

 

 

 

 

 

 

 

 

 

 

 

 

 

 

 

 

 

 

 

 

 

 

 

 

 

 

 

 

그대만 아퍼?

다들 그대만큼은 아퍼.
아프지 않아서 아야 소리 안 하구 사는 줄 알어?
그게 다 민폐니까,

쓸데없는 자기연민이니까 참고 사는 거야.

 


이딴 책 읽으면 세상이 변해?
방구석에 쳐 박혀 고민만 하면

사랑을 쟁취할 수 있어?
쟁취할 수 없으면 포기해 그냥?
그렇게 도피하면 치유가 돼?
마음이 있는데 왜 행등을 안해 들!

 


행동하는 용기만이

상처의 치유책이고,

문제의 해결책이야.

 

 

 

 

 

 

 

 

 

 

 

 

 

 

 

 

 

 

 

 

 

 

 

 

 

 

 

 

 

 

 

 

 

 

 

 

 

 

 

 

 

 

 

 

 

 

 

 

 

 

 

 

 

 


너한테 나는 아무것도 아닐지 몰라도 나는 아니야.
내가 독립투사가 될 리 없고,

니가 그 일을 포기할 리 없다고 했지?
나랑 너랑은 영원히 평행선이라구 했지?

절대로 한 지점에서 만날 수 없다고 했지?


..아니, 만날 수 있어!
니가 나한테 혁명이 뭔지 가르쳐줘.
그럼, 내가 너한테 사랑이 뭔지 가르쳐줄게.

 

 

 

 

 

 

 

 

 

 

 

 

 

 

 

 

 

 

 

혁명도 같이 하는 거야.
사랑만 혼자서 못하는 게 아니야.
혁명도 마찬가지야.


뜻을 같이 하는 동지가 옆에 있기 때문에

목숨을 걸 각오도, 용기도 생기는 거야.
뭐든 같이 하자 둘이서,

사랑이든 혁명이든.

 

 

 

 

 

 

 

 

 

 

 

 

 

 

 

 

 

 

 

 

 

 

 

 

 

 

 

 

 

 

 

 

 

 

 

 

 

 

 

 

 

 

 

 

 

 

 

 

 

 

 

 

 

 

 

 


살아가면서 맘속에 품은 분노를 플 데를 찾으라면서요..
세상을 이 따위로 만든 적들을 찾아 복수하라면서요..
당신이 시킨데로 했는데..
당신과 같은 길을 걷고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사는게 뭐 이래요..?

 

...알아요, 알아.. 나 안죽어.
나를 죽이지 못한 고통은 나를 강하게 만들뿐이라며..
얼마나 강해져야 무뎌질 수 있는지.. 버텨 보겠다구요..

 

 

 

 

 

 

 

 

 

 

 

 

 

 

 

 

 

 

 

 

 

 

 

 

 

 

 

 

 

 

 

 

 

 

 

 

 

 

 

 

 

 

 

 

 

 

 

 

 

 

 

 


아무래도 널 만난건 행운이었던 거 같다.


너를 만나고부터 내가,

내 주변이 변하기 시작했거든.
내가 모든 일에 한 발만 담그고 있는 객원 인생이라구 했지?
남자라면 걸레 따위에 목숨을 거는 게 아니라,

좀데 근사한 데 목숨을 걸라고 했지?


목숨을 한 번 걸어볼 생각이야.
유일하게 두 발 모두 담그고 싶은 사람과 일이 생겼거든.

 

나는 형처럼 어이 없이 안 죽어.
너도 맘대로 죽게 안 만들어 내가.
그러니까 죽지 말고 오래오래 살자.


지겨운 이놈의 땅,

해방되는 거 까지 보고 죽자.

 

 

 

 

 

 

 

 

 

 

 

 

 

 

 

 

 

 

 

 

 

 

 

 

 

 

 

 

 

 

 

 

 

 

 

 

 

 

 

 

 

 

 

 

 

 

 

 

 

 

 

 


사랑은 꼭 해방된 조선에서만 해야 되는 거냐?
독립투사라고 해서 사랑하지 말란 법은 없잖아.
그럼 이 식민지 시대에 태어난 우리들은 뭐냐, 도대체?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고,

식민시대에도 사랑을 했다는 증거가,
바로 우리들의 탄생 아니겠냐고.

 

 

 

 

 

 

 

 

 

 

 

 

 

 

 

 

 

 

 

 

 

 

 

 

 

 

 

 

 

 

 

 

 

 

 

 

 

 

 

 

 

 

 

 

 

 

 

 

 

 

 

 

 

이봐, 저격수. 잘해. 다치지 말고,
위험해지지도 말고, 멋지게 살아남아서

그 자식이랑 멋지게 사랑하면서 살아.
알지? 너 없는 이 세상은 한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거.

 

 

 

 

 

 

 

 

 

 

 

 

 

 

 

 

 

 

 

 

 

 

 

 

 

 

 

 

 

 

 

 

 

 

 

 

 

 

 

 

 

 

 

 

 

 

 

 

 

 

 

 

 

역시 연애는 항일 투쟁의 가장 강력한 혁명전술임이 분명해.


봐봐, 내기로 시작됐던 마음이 진실한 마음이 됐지,
사랑의 아픔이 곧 시대의 아픔이 됐지,
연적을 향했던 분노가 공적을 향한 분노가 됐지,
너를 향한 사랑이 조국을 향한 사랑이 됐지,
연애만큼 강력한 각성제가 어딨고, 위대한 전술이 또 어딨겠냐?

 


그런 의미에서 나한테 너는

조국이고, 형 대신이고, 동지이지 연인이야.

 

 

 

 

 

 

 

 

 

 

 

 

 

 

 

 

 

 

 

 

 

 

 

 

 

 

 

 

 

 

 

 

 

 

 

 

 

 

 

 

 

 

 

 

 

 

 

 

 

 

 

 


미안하네요..

당신에게 또 이런 십자가를 지게 해서..
그래도 살아주세요.. 당신은 살아서..

반드시 행복해주세요..

 

 

 

 

 

 

 

 

 

 

 

 

 

 

 

 

 

 

 

 

 

 

 

 

 

.

.

.

.

.

.

.

 

 

 

 

 

 

 

 

 

 

 

 

 

 

 

 

 

 

 

 

 

 

 

 

 

 

 

청춘은 언제나 봄.

 

조국은 아직도 겨울,


아! 
해방된 조국에서 신나게 연애나 해봤으면!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단두대상 유재춘풍 유신무국 기무감상"

-단두대 위에도 봄바람은 있는데 몸은 있어도 나라가 없으니 어찌 감상이 없으리오-

 

 -일우 강우규 의사, 죽음 직전의 사형대 앞에서-

 

 

 

 

 

 

 

 

 

 

 

 

 

 

 

 

 

 

 

 

 

 

 

 

 

 

 

 

 

 

 

왜놈들에게 짓밟힌 식민지 조선에서도,

고통에 눈물 흘리고, 죽음의 신념으로 독립을 갈구하던 

뼈를 깎는 아픔과 고단한 투쟁 속에서도,

'사랑'은 존재했다.

 

 

혁명의 이름 아래 감춰졌던

세상에서 가장 치열했던 사랑은

2007년 밤, 우리 곁으로 와 별이 되었다.  

 

 

 

 

 

 

 

 

 

 

 

 

 

 

 

 

첨부파일 111.wma

 

출처 : 소울드레서 (SoulDresser)
글쓴이 : ⓘparismatchⓧ 원글보기
메모 :